Home_ 커뮤니티_ 건강칼럼
영유아 '수족구병' 주의보... "부모가 놓치면 안 되는 신호는?"
영유아를 중심으로 수족구병 환자가 크게 늘고 있다. 질병관리청은 수족구병 환자 수가 최근 3개월 새 18배 가까이 늘었으며, 이 질환이 봄부터 가을까지 주로 발생하는 특성을 고려할 때 당분간 확산이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며 주의를 당부했다.
27일 질병관리청에 따르면 33주차(8월 10~16일) 수족구병 의사환자분율은 인구 1,000명당 26.7명으로, 지난 5월 말(21주 1.5명) 대비 17.8배 증가했다. 특히 영유아 환자가 집중적으로 발생해 부모들의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연령별 발생을 보면 0~6세가 36.4명으로, 7~18세(7.1명)보다 현저히 높았다.
수포·발열 동반하는 수족구병, '극심한 통증 주의'
수족구병(hand, foot and mouth disease)은 이름 그대로 손, 발, 입에 증상이 나타나는 감염병이다. 주요 증상은 물집, 궤양, 수포성 발진으로, 특히 궤양은 목젖 주변을 포함한 연구개 점막에 잘 생기며 극심한 통증을 유발한다. 아이들은 이 같은 통증을 "입안이 맵다"고 표현하기도 한다. 피부 발진은 손등과 발등에 붉은 물집 형태로 나타나며, 영유아는 기저귀가 닿는 부위에도 발생할 수 있다. 수족구병 발진은 통증이나 가려움이 거의 없는 것이 특징이다. 이 외에도 수족구병은 발열, 식욕 감소, 무력감, 설사, 구토 등 전신∙위장 증상을 동반할 수 있다.
수족구병은 보통 발병 후 7~10일이면 자연 회복되지만, 면역력이 약한 경우 드물게 뇌수막염, 뇌염, 마비 증상 등 합병증으로 이어질 수 있다. 또한, 수족구병을 일으키는 원인균은 대부분 콕사키바이러스 a16형이지만, 극히 드물게 엔테로바이러스 71형에 감염될 수 있다. 이 경우 신경계 합병증, 신경원성 폐부종, 폐출혈 등이 동반돼 치명률이 더욱 높아질 수 있다.
수족구병 의심 증상이 나타나면 지체 없이 의료기관을 찾아야 한다. 특히 질병관리청은 ▲6개월 미만 영아 ▲수분 섭취가 어려운 경우 ▲2일 이상 발열이 지속되는 경우에는 반드시 의료기관 진료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성인도 안심 금물… 재감염 가능성도 고려해야
한 번 앓았다고 해서 안심할 수는 없다. 수족구병은 콕사키바이러스 a16, 엔테로바이러스 71형 외에도 콕사키바이러스 a5, a6, a10형, b2, b5형 등 다양한 바이러스가 원인이 될 수 있다. 소아청소년과 김경남 전문의(수원 카톨릭대학교 성빈센트병원)은 "감기가 여러 번 걸릴 수 있듯, 수족구병도 원인 바이러스가 다르면 재감염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주로 소아에게 나타나지만, 성인에서도 발병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성인의 경우 증상이 감기처럼 가볍게 지나가거나 발진이 비정형적으로 나타날 수 있으며, 대체로 손과 발에 국한되는 양상을 보인다.
예방은 철저히, 치료는 신속하게… 발병 시 격리 필요
수족구병은 주로 사람 간 접촉이나 비말을 통해 전파된다. 특히 감염자의 손을 통해 퍼지는 경우가 많다. 감염자가 손을 씻지 않은 채 다른 사람을 만지거나 물건을 오염시키면 바이러스가 쉽게 옮겨가기 때문. 특히 수족구병 바이러스는 물건 표면에서 장시간 생존할 수 있어 문손잡이, 장난감 등 일상적으로 손이 닿는 물건을 통해서도 전파가 이뤄질 수 있다.
수족구병 전파를 막는 기본은 '손 씻기'다. 식사 전후와 화장실 사용 후에는 반드시 손을 꼼꼼히 씻어야 하며, 특히 대변을 통해 바이러스가 수 주간 배출될 수 있기 때문에 화장실 이용한 후에는 손을 더욱 꼼꼼하게 씻어야 한다. 아울러 환자가 같은 공간을 사용했다면, 환자가 만진 물건에 소독액(염소 0.5%)을 뿌린 뒤 10분 후 깨끗한 물로 씻어내는 것이 안전하다.
의심되면 바로 병의원에서 진료를 받아야 한다. 수족구병은 제4급 감염병으로, 환자가 학교·유치원·학원 등에 다니면 집단 확산 위험이 크기 때문에 등교·등원 중지가 권장된다. 가정의학과 서민석 교수(가톨릭대학교 인천성모병원)는 "수족구병으로 확진되면 어린이집이나 유치원은 보내지 않는 것이 원칙"이라며 "증상은 보통 7~10일 정도 지나면 호전되지만, 전염력이 가장 강한 시기는 첫 1주일로 최소 1주일간은 격리를 유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